이번 글에서는 변형 유도 마르텐사이트 변태에 의한 성능향상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용 재료로는 준안정 이중상 티타늄 합금을 사용하였으며 균일한 이중상 미세구조 조직을 얻기 위해 여러 단계의 열처리 공정을 거쳤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강도와 연신율이 향상된 타이타늄을 얻을 수 있었으며 그 상세 과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마르텐사이트 변태 연구 배경 및 목적
티타늄 합금은 높은 비강도, 생체적합성, 내식성 등의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항공우주, 화학, 의료, 해양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1100 MPa 이상의 극고강도 티타늄 합금은 중요한 구조재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강도와 연성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이러한 합금 개발의 주요 과제로 남아있습니다.본 연구에서는 Ti-30Zr-5Al-3V 합금의 미세구조를 제어하여 화학 조성의 변경 없이 연성을 향상시키면서 극한인장강도(UTS)를 유지하는 방법을 탐구했습니다. β상의 부피 분율을 조절하여 합금의 변형 메커니즘을 제어함으로써 초고변형경화능력을 달성하고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주요 목표였습니다.
마르텐사이트 변태 실험 방법
재료 준비 및 열처리
Ti-30Zr-5Al-3V (wt.%) 조성의 합금 잉곳을 진공 소모성 전기 아크로에서 용해하여 제작했습니다. 균일한 이중상(α+β) 미세구조를 얻기 위해 여러 단계의 열간 단조 공정을 거쳤습니다. 최종적으로 800°C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수냉 및 공냉 처리를 통해 서로 다른 미세구조를 가진 시편을 준비했습니다.
기계적 특성 평가
인장 시험은 상온에서 5 × 10^-4 s^-1의 변형률 속도로 수행되었습니다. 수냉 처리된 시편에 대해서는 하중-제하-재하중(LUR) 인장 시험도 실시하여 변형 중 내부 응력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미세구조 분석
광학현미경(OM), 주사전자현미경(SEM), 전자후방산란회절(EBSD), 투과전자현미경(TEM) 등 다양한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변형 전후의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했습니다.
마르텐사이트 변태 실험 결과 및 논의
기계적 특성 비교
수냉 처리된 시편은 공냉 처리된 시편에 비해 균일 연신율이 ~3.4%에서 ~9.6%로, 파단 연신율이 ~6.2%에서 ~13.3%로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는 UTS의 저하 없이 달성되었습니다.
미세구조 진화
변형이 진행됨에 따라 β상 내에서 α’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어 결정립 크기를 감소시켰습니다. 동시에 일부 α상과 α’ 마르텐사이트 결정립들이 재배열되고 합체되는 현상도 관찰되었습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변형 메커니즘으로 인해 결정립계 밀도와 전위 밀도가 변화하면서 재료의 변형 거동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초고변형경화 메커니즘
수냉 처리된 시편의 초고변형경화능력은 변형 중 후방응력(σback)과 유효응력(σeffective)의 증가에 기인합니다. 후방응력 강화는 이종구조 변형과 결정립계에서의 기하학적 필수 전위(GNDs) 축적에 의해 발생합니다. 유효응력 강화는 주로 변형 유도 α’ 마르텐사이트 변태(SIMT)에 의한 동적 Hall-Petch 효과와 GND 이동을 방해하는 효과 등 전위 강화 메커니즘에 의해 일어납니다.
준안정 이중상 티타늄 합금의 주요 특징과 장단점
- 미세구조: 준안정 β상과 α상으로 구성된 이중상 구조를 가집니다.
- 상변태: 변형 유도 α’ 마르텐사이트 변태(SIMT)가 일어납니다.
- 강도: 1100 MPa 이상의 극고강도를 나타냅니다.
- 변형 메커니즘: β상의 부피 분율 조절을 통해 변형 메커니즘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장점
- 우수한 강도-연성 조합: SIMT 현상을 통해 강도 저하 없이 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초고변형경화능력: 후방응력과 유효응력의 증가로 인해 우수한 변형경화 특성을 보입니다.
- 미세구조 제어 용이: 열처리를 통해 β상의 부피 분율을 조절하여 기계적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응용 가능성: 항공우주, 의료, 해양 등 첨단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합니다.
단점
- 복잡한 제조 공정: 정밀한 열처리와 가공 공정이 요구됩니다.
- 비용: 일반 티타늄 합금에 비해 제조 비용이 높을 수 있습니다.
- 용접 난이도: 복잡한 미세구조로 인해 용접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열처리 민감성: 부적절한 열처리 시 기계적 특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습니다.
준안정 이중상 티타늄 합금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다양한 응용 가능성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지만, 복잡한 제조 공정과 비용 문제 등의 단점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장단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응용 분야를 선택해야 합니다.
마르텐사이트 변태 공냉 vs 수냉 처리 시편 비교
공냉 처리된 시편은 β상의 부피 분율이 낮아 SIMT 현상이 덜 발생하고, 작은 변형에도 상당한 결정립 조대화가 일어났습니다. 이로 인해 변형경화율을 유지하기 어려워 조기 파단이 발생했습니다. 반면 수냉 처리된 시편은 SIMT 현상을 통해 높은 변형경화율을 유지할 수 있었고, 이는 균일 연신율과 전체 연성의 향상으로 이어졌습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Ti-30Zr-5Al-3V 합금의 미세구조 제어를 통한 기계적 특성 향상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냉 처리를 통해 β상의 부피 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SIMT 현상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UTS의 저하 없이 균일 연신율과 전체 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 수냉 처리된 시편의 초고변형경화능력은 변형 중 후방응력과 유효응력의 증가에 기인하며, 이는 이종구조 변형, GND 축적, SIMT에 의한 동적 Hall-Petch 효과 등 복합적인 메커니즘의 결과입니다.
- 공냉 처리된 시편은 β상의 부피 분율이 낮아 SIMT 현상이 제한적이고, 작은 변형에도 결정립 조대화가 쉽게 일어나 변형경화율 유지가 어려웠습니다.
- 미세구조 제어를 통해 합금의 변형 메커니즘을 조절함으로써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SIMT 현상을 활용하여 UTS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균일 연신율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며, 고성능 티타늄 합금 개발에 중요한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마르텐사이트 변태에 의한 재료물성 특성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조금 더 정보가 필요하신 분께서는 이 글을 함께 읽어보세요.
홀 확장 특성이 개선된 강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이번 글을 함께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