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에너지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태양광 셀과 모듈의 효율은 계속해서 높아져야 하며, 동시에 제조 및 생산 비용은 감소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 셀 전면 금속화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입자와 납이 없는 금속-유기 잉크를 개발하고 이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새로운 금속화 잉크의 필요성
태양광 셀 제조에서 은(silver)은 필수적인 금속 소재로 사용되지만, 가격이 상승하면서 생산 비용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전면 금속화 공정은 셀 생산 비용의 약 20%를 차지하며, 저항 손실, 광학 음영 손실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효율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은 소비를 줄이면서도 기존의 재료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씨드-플레이트(seed and plate)” 방식의 금속화 잉크를 개발했습니다. 이 방식은 은 염(silver salt)을 이용해 저온에서 씨드층(seed layer)을 형성한 후, 니켈과 구리를 도금하여 접촉선을 강화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줄이는 기술입니다.
입자 없는 금속-유기 잉크의 개발 및 구성
새롭게 개발된 잉크는 은-네오데카노산염(Ag-neo)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입자가 포함되지 않아 장기적인 안정성과 균질성을 제공합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요 금속 성분:
- 은, 비스무스, 아연을 포함하여 총 금속 함량의 26%를 차지합니다.
- 비스무스와 아연은 실리콘 질화물(SiNx) 반사 방지막을 에칭(etching)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용매:
- 잉크의 용해도와 프린팅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자일렌(xylol)과 N-메틸-2-피롤리돈(NMP)을 사용했습니다.
- 프린팅 기술:
- 입자가 없어 프린터 노즐 막힘 현상이 없으며, 잉크젯 프린팅과 에어로졸 프린팅과 같은 비접촉 방식에 적합합니다.
금속-유기 잉크 장점
1. 입자 없는 균질성
- 금속-유기 잉크는 입자가 포함되지 않아 **균질성(homogeneity)**이 뛰어나며, 시간이 지나도 성분의 분리나 침전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 장기 안정성이 우수하여 저장 및 사용이 용이합니다.
2. 프린팅 기술에 적합
- 잉크젯 프린팅이나 에어로졸 프린팅 같은 비접촉 방식에 적합합니다.
- 프린터 노즐의 막힘(clogging) 문제가 없어 고해상도 출력이 가능합니다.
3. 저온 소결 가능
- 낮은 온도(450-480°C)에서 금속 씨드층(seed layer)을 형성할 수 있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온도 민감한 소재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기존 고온 소결 공정(800°C 이상)에 비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4. 맞춤형 조성 가능
- 다양한 금속 성분(예: 은, 비스무스, 아연)을 혼합하여 특정 기능(에칭, 접촉선 형성)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소재의 유연성이 높아 여러 응용 분야에 맞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5. 환경친화적
- 납을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환경 규제를 준수할 수 있습니다.
- 은 염을 사용하여 은 소비량을 줄이는 등 자원 절약에도 기여합니다.
금속-유기 잉크 단점
1. 제조 복잡성
- 금속-유기 잉크의 조성을 최적화하려면 다양한 금속 성분과 용매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하며, 제조 공정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
2. 접촉 면적의 제한
- 소결 후 형성되는 접촉 면적이 제한적일 수 있어 전도성 향상을 위해 추가 공정(예: 도금)이 필요합니다.
- 초기 연구에서는 접촉 면적이 약 1.3%로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보고되었습니다.
3. 물리적 강도
- 소결 후 형성된 씨드층이 기존의 입자 기반 잉크보다 기계적 강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 후속 공정을 통해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4.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
- 금속-유기 화합물을 제조하고 안정화하는 데 드는 초기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습니다.
- 은 기반 화합물 사용으로 인해 원재료 비용이 여전히 부담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5. 한정된 응용 범위
- 특정한 소결 온도와 조건이 요구되므로, 모든 공정 및 소재에 적용할 수 있는 범위는 한정적입니다.
- 특화된 기술이 필요한 경우 추가 연구와 개발이 필요합니다.
금속-유기 잉크의 활용을 고려한 조언
금속-유기 잉크는 기존의 금속화 기술에 비해 많은 이점을 제공하지만, 실제 산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제조 공정 최적화, 비용 절감 방안, 그리고 접촉선 품질 향상과 같은 기술적 개선이 필요합니다.
특히 저온 소결, 친환경성, 입자 없는 특성은 차세대 태양광 기술, 전자 소자 제조, 의료 기기 등의 분야에서 매우 유망한 솔루션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험 결과: 씨드층 형성과 접촉 특성
개발된 잉크는 450-480°C의 온도에서 은 염이 환원되며 씨드층을 형성하고, 실리콘 질화물 층을 국소적으로 열어 인산염이 도핑된 방출층(emitter)과 접촉합니다. 또한, 플레이트 단계에서 니켈과 구리를 도금하여 접촉선의 전도성을 향상시켰습니다.
주요 실험 결과:
- 장기 안정성:
- 20일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은-네오데카노산염 기반 잉크를 제작했습니다.
- 에칭 성능:
- 비스무스와 아연의 조성을 최적화하여 에칭 깊이와 접촉 형성을 개선했습니다.
- 낮은 소결 온도:
- 480°C에서 5분 동안 소결(curing)하여 실리콘 표면과 안정적인 접촉을 형성했습니다.
- 현재 과제:
- 인쇄된 선 아래 접촉 면적이 약 1.3%로 제한적입니다. 이는 비스무스와 금속 함량을 늘리면 개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태양광 산업에서의 응용 가능성
낮은 소결 온도를 요구하는 본 잉크는 열 민감한 소재를 포함한 새로운 태양광 셀 구조에 적합합니다. 또한, 셀 두께를 줄이는 동시에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태양광 제조 공정에서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결론 및 향후 전망
본 연구는 실리콘 태양광 셀 전면 금속화를 위한 입자와 납이 없는 금속-유기 잉크를 개발하고, 이를 최적화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향후 잉크 조성과 프린팅 공정을 더욱 개선함으로써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새로운 잉크는 태양광 제조 산업에서 더 높은 효율과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
자동차 도장 공정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보세요.